티스토리 뷰

728x90

랜드 어택(Land Attack)은 네트워크 공격 기법 중 하나로, 송신 IP 주소와 수신 IP 주소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. 즉, 공격 대상이 스스로에게 패킷을 보내도록 유도하는 공격입니다. 이 공격은 주로 TCP/IP 프로토콜의 취약점을 악용합니다.

동작 원리:

  1. 공격자는 송신 IP 주소수신 IP 주소를 동일하게 설정한 패킷을 생성합니다. 이때 송신 IP 주소와 수신 IP 주소는 공격 대상의 IP 주소로 설정됩니다.
  2. 공격 대상은 이 패킷을 수신하고, 자신에게 다시 응답을 보내려 합니다.
  3. 이 과정에서 서버가 혼란을 일으키거나, 무한 루프에 빠져 시스템 과부하 또는 네트워크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랜드 어택의 특징:

  •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 주소가 동일하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.
  • 과거에는 일부 운영체제나 네트워크 장비가 이런 비정상적인 패킷을 처리하지 못하고 다운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.

랜드 어택의 영향:

  • 서비스 거부(DoS): 시스템이 스스로에게 패킷을 보내도록 유도함으로써, 네트워크 트래픽이 과부하되고 시스템이 멈추거나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  • 취약한 시스템에서는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시스템 자원이 소모되어 서비스 거부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.

방어 방법:

  • 방화벽IDS/IPS(침입 탐지/방지 시스템)에서 송신 IP 주소와 수신 IP 주소가 같은 패킷을 필터링하거나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.
  • 최신 운영체제에서는 이러한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패치가 적용되어 있어, 업데이트된 시스템에서는 랜드 어택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.

랜드 어택의 역사:

  • 랜드 어택은 1997년에 처음 발견된 공격 기법입니다. 당시에는 일부 네트워크 장비나 운영체제가 이 공격에 취약했지만, 현재 대부분의 시스템은 이 문제를 해결한 상태입니다.

랜드 어택은 과거에 유효했던 공격 기법으로, 주로 네트워크 취약점을 이용한 서비스 거부 공격의 일종입니다.

728x90